
복지관 노인의 인지증진활동이 손의 기민성 정도와 인지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the Welfare Center on Hand Dexterity, Cognitio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 김영아(Kim Young-A) 성윤정(Sung Yoon-Jeong) 양영애(Yang Yeoung-ae)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29 - 35 (7 pages)
목적: 본 연구는 복지관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증진활동을 시행 한 후 손의 기민성, 인지능력,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복지관에 다니는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인지증진활동을 총 10회기에 걸쳐 시행했다. 손의 기민성은grooved pegboard, 인지능력은 MOCA-K,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은 K-IADL, 우울감은 K-GDS를 사용하여 평가했다. 연구결과: 인지증진활동을 시행하고 나서 시행 전 보다 손의 기민성에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냈으며, 인지능력과 우울감은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하지만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는 인지증진활동이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인지증진활동은 손기능, 인지능력, 우울감에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복지관 노인의 만족도도 높았다. 하지만, K시의 노인복지관에 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역적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더 많은 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nd dexterity, cognition skil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fter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in elderly welfare centers. Method: The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were performed for 10 ristimes on 20 elderly people. This study assessed hand dexterity, cognition skills, IADL, and depression using grooved pegboard, MOCA-K, K-IADL, and K-GDS before and after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Result: After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hand dexterity improves positively and cognition skills and depression improves significantly. However, instrum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not affected by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Conclusion: The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affect positively on hand dexterity, cognition skills and depression. The elderly people of welfare center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However, this study were held in one welfare center in K city, so further study required to recruit more sample size and develop regional programs to generalize the resul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