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38.jpg
KCI등재 학술저널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omen Suspected Of Dementia

  • 625

목적: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치매 의심 노인으로실험군 7명, 대조군 7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기간 동안 동일하게 20분간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실험군은 추가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를 적용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는 5주간,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로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한국판(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 MMSE-K), 우울 지수는 벡 우울증 척도 한국판(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 K-BDI),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후 집단 내에서 인지기능, 우울 지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에서는 인지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for old woman with dementia. Method: The study were 1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woman suspected of dementia.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Study group(N=7) and control group(N=7). All patients received only to Study groups.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was composed to 10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s, 2 times a week, for 5 weeks. For resul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he evaluation tools wer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the within group after interven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between group compariso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an easing effect was confirmed regarding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for an old woman with dementia. using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when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