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의 효과 : 체계적 고찰
Effect of Fall Prevention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 systematic Review
- 박보라(Park Bo-Ra)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0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12
- 19 - 29 (11 pages)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근거 제시를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자 데이터베이스 KISS와 RISS를 이용하여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검색한 논문은 최종 선별된 1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상예방 중재에 대한 논문은 연구수준은 Ⅱ단계(60.00%)가 많았고, 연구 장소는 경로당(70%)이 가장많았다. 중재는 단편적 중재(70%)가 많았고, 중재 효과는 신체적 기능 향상(75%)이 많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 중재 종류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낙상예방 중재에 대한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that can be applied clinically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falls prevention interventions and effects for the elderly.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10 to 2017 using electronic databases KISS and RISS. The papers searched were analyzed for the final 10 selected journal. Result: The paper on fall prevention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had the greater percentage of research of phase II(60.00%), and the greater percentage of intervention place was senior citizen center(60.00%). Intervention had a greater percentage of single intervention, and was effective in improving physical function. 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data on the Intervention type of fall prevention for the elderly 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reasons for future fall-prevention intervention and intervention for further study are provid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