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사회서비스 이용, 우울, 자존감을 중심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ving Satisfaction of Elderly - Focused on using social services, depression and self-esteem -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0권 제2호
- : KCI등재
- 2018.12
- 65 - 74 (10 pages)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이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와 경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에 활용된 연구대상은 제10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2015년)에서 층화이중추출법을 사용하여 65세이상인 노인 3,392명을 추출하였고, 이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생활만족과 관련된 독립변수는 사회서비스 이용을 선정하였으며, 매개변수는 우울과 자존감을 선정하여 사회서비스 이용에서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 우울 및 자존감과 생활만족도 간의 인과관계에서 각 변수들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서비스 이용은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고, 우울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우울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자존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서비스 이용은 우울과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간접효과도 있었다. 결론: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함께 우울을 낮추거나 예방하고, 자존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평가․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불가피한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보완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프로그램 연구․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함에 본연구의 함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2 elderly people who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data (2015).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the use of social services. The mediator wer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Result: The use of social service effects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ositively. One the other hand, the use of social service effects on depression negatively.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more effects negatively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The use of social servic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by mediat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for not improving life satisfaction but also reducing depression level of elderl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it is analyzed using secondary data. Although, this study could provide foundation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