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83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일 복지전시회 비교: 일본 국제복지기기전(HCR)과 한국 국제복지재활시니어전시회(KORECA)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 Welfare Exhibition: Focusing on Japan Home Care & Rehabilitation Exhibition(HCR) and Korea Rehabilitation & Senior Care(KORECA)

  • 86

목적: 고령화에 따른 고령친화산업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발전되고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어관련 산업의 중요성 및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시회의 발전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의 복지기기 관련전시회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국제 전시회를 개최한 일본을 비교 국가로서선정하여, 각국의 전시회 규모 및 특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본 동경 국제복지기기전(HCR)과 한국 부산 국제복지재활시니어전시회(KORECA)의 3년간의 데이터를비교한다. 전시장의 크기, 참가업체 수, 참관객 수 등 전시회의 일반적 특성 및 전시회 구성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전시회장의 면적이 HCR이 KORECA보다 3배, 참가업체의 수는 2배, 참관객 수는 4배 넘게 크다고 나타났다. 전시회의 전시 제품 종류도 3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KORECA는 HCR과 비교하여 면적, 참관객, 참가업체 수, 전시 제품의 종류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전시회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일본과 비교하여 역사가 짧고 체계적인 피드백과 피드포워드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e needs of aging-friendly industry increased and developed. As the use of aging-friendly industry increased, the develop of exhibition to facilitate use and importance became necessa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of develop welfare related exhibition in Korea. This study compared with Korea’s welfare related exhibition and Japan’s which opened welfare related exhibition first time in East Asia to pursuit purpose of this study. Method: Korea Rehabilitation and Senior Care(KORECA) was compared with Japan Home Care and Rehabilitation Exhibition(HC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recent 3 years of. The size of exhibition and number of visitors, exhibitors, products’ type were analyzed. Result: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HCR, the difference of size of exhibition is 3 times, number of visitors is 4 times, number of exhibitors is 2 times, and number of products type is 3 tim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 KORECA was insufficient exhibition than HCR. KORECA puts effort to hold successful exhibition. Nevertheless, the history of exhibition and systematic feedback and feed forward were unsatisfi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