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909.jpg
KCI등재 학술저널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두 번의 만남 -대화와 소통을 화두로-

The Two Encounters between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I - Focused on Dialogue and Communication as Topics -

  • 158

이 글은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인간적 만남’을 주제로 한 것이다. 학술 차원의 문제보다 ‘인간적 교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퇴계와 율곡은 일생토록 두 차례 만났다. 만남의 횟수가 사귐의 깊이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퇴계와 율곡의 역사적 만남이 있었던 1558년은 퇴계와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이 처음 만난 해이기도 하다. 퇴계의 입장에서 ‘1558년’은 기념할 만한 해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퇴계는 일생토록 율곡을 아끼는 후학으로 예우하였고, 율곡 역시 세상을 떠날 때까지 퇴계를 존숭하고 그의 업적을 기렸다.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와 함께 동방유학의 양대 종장(兩大宗匠)으로 받들었다. 율곡이 퇴계에 대해 “퇴계에 이르러 유자(儒者)의 모양이 갖추어졌다”고 한 논평은 퇴계를 보는 율곡의 관점을 대변한다. 퇴계와 율곡은 학설상으로도 차이가 나는 것을 빼놓고는 대립할 만한 소지가 크지 않다.. 퇴계⋅율곡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이론 설명의 방식에 있다.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를 대립적 관점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 조선후기 성리학사는 대화와 소통을 외면하지 않았다. 퇴계와 율곡의 만남은 일부 뜻 있는 후학들에 의해 시도되었고, 일정 부분 성취되었다. ‘대화와 소통’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통해 퇴계학과 율곡학을 읽어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encounter of two personalities”,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I. It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personalities” rather than academic issues. Toegye and Yulgok met twice in their lifetime. The number of meetings is not proportional to the depth of acquaintance. The year 1558, the year of the historic encounter between Toegye and Yulgok, was also the year of the first encounter between Toegye and Gobong (高峯) Ki Dae-seung (奇大升). From Toegye s point of view, “the year 1558” would be a memorable year. During his life, Toegye has appreciated and honored Yulgok as a scholar of the future generation, and Yulgok has respected Toegye and has honored Toegye’s achievements until he passed away. He considered Toegye as one of the two masters (兩大宗匠) of Confucianism in the East, along with Jeongam (靜庵) Jo Gwang-jo (趙光祖: 1482-11519). Yulgok s comment about Toegye saying that the aspect of Confucian scholar took shape with Toegye , represents Yulgok s opinion about Toegye. With the excep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doctrine, Toegye and Yulgok have not much to confront each other.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Toegye and Yulgok is a difference in the way they describe the theory. Approaching the school of Toegye and the school of Yulgok only from a conflictual perspective is problematic. When looking at the history of Neo- Confucianism, at the end of Joseon, we can see that dialogue and communication were not ignored. There were trials to make encounter Toegye and Yulgok by some of the future scholars who were willing, and they were partially achieved. It is meaningful to read Toegye s doctrine and Yulgok s doctrine through the topics of time, “dialogue and communication”.

Ⅰ. 머리말

Ⅱ. 23살의청년이58세의 老大家를 찾다

Ⅲ. 안동 ↔강릉에서의 서신 교류

Ⅳ. 두 번째 만남과 퇴계의별세

Ⅴ.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그리고 대화와소통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