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909.jpg
KCI등재 학술저널

退溪와 高峯의 만남과 대화 - 만남과 知와 사랑[仁]의 대화, 그리고 그 자취[故]를 따라서[憶]

The Meeting and Dialogue between Toegye and Kobong

DOI : 10.33213/THLJ.2018.0.23.279
  • 72

필자는 ‘退溪(李滉 1501~1570)와 高峰(奇大升 1527~1572)의 만남과 대화’를 본 논문의 주제로 삼았다. 그들의 대화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려는 것은 한 세대 가까운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존경하고 존중하면서 대대관계로서의 대화를 나누고 서로가 서로를 독려하면서 끊임없이 스스로를 성찰해 나가는 모습과 자세이다. 만남은 주체적인 ‘나’가 또 다른 주체자인 ‘너’에게로 다가섬이고, ‘너’가 ‘나’에게로 다가옴이다. 만남은 대화를 낳게 되는데, 대화란 곧 이성의 나눔을 뜻한다. 대화가 맑은 영혼과 부드럽게 정화된 빛에 싸여 순수한 이성을 그려낼 때, 그 대화는 사랑이라는 예술로 승화하게 된다. 사랑이 한 사람의 ‘너’에 대한 한 사람의 나의 책임이기에 그 어떤 감정에도 있을 수 없는 것, 즉 모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있는 한결같음이라고 한다면, 퇴계와 고봉의 만남과 그들의 영혼이 깃든 사랑의 대화는 성찰의 시간에 대한 다른 이름이자 자신의 자기 비춤에 다름 아니다. 高峰이 32세에 退溪를 처음 만난 것은 1558년 10월이었다. 이후 퇴계와 고봉의 만남은 대략 5차례 정도로 추정되지만, 지적 대화의 깊이로 헤아려 본다면 이들의 만남은 보편적이고 인간적인 遭遇를 통해서 즉, 책보다는 인간을 통해서 인간다움을 알게 되는 순간으로 이해 할 수 있다. 특히 학문을 함에 있어서 소중한 것은 인간적인 만남을 통한 대화이다. 그래서 학자가 대화를 멀리하는 것은 결국 세상을 등지고 살아가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다. 퇴계는 이를 두고 학문을 강론하면서 대화할 벗들이 없이 쓸쓸히 지내는 것을 ‘鈍滯의 근심’이라고 하였다.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나, 제어하기 어려운 것, 또는 극복하기 어려운 것은 종종 강제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사랑과 조화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퇴계와 고봉도 대화의 근본적인 의도가 道를 밝히는 데 있고 두 사람 모두 私意가 없는 경우라면 반드시 異見이 조화를 이룰 것이라고 하였다. 즉, 근본이 같다면 사소한 것은 굳이 따지지 않더라도 끝내는 반드시 의견이 같아질 것이라고 그들은 믿었다. 이러한 자세는 후유들이 퇴계와 고봉이라는 오래된 未來에 다가 갈 수 있게 해주는 道理이자 그 정신을 이어가야할 所以然이기도 하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의 隔絶에도 불구하고 선유들의 사유와 실천을 대물림한다는 것은 오늘을 살아가는 後儒들이 체험하여 실행하지 않을 수 없는 ‘先儒들의 영혼의 울림이자 자각의 채찍’이라 할 수 있다. 두 巨儒의 탁월한 철학적, 학문적 유산은 그들 스스로가 획득한 저 ‘자의식의 빛’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Among the numerous Meetings and Dialogues in the history of mankind, there are three monumental Meetings and Dialogues such as Socrates and Platon’s, Johann Wolfgang von Goethe and Johann Peter Eckermann’s, and Alfred North Whitehead and Lucien Price’s in the West. As a counterpart against those Meetings and Dialogues, I want to interpret The Meeting and Dialogue between Toegye (Yi Whang1501~1570) and Kobong (Ki DaeSeung 1527~1572) to the Western world. What I am going to treat here through their dialogue is the aspect and attitude of constantly reflecting on each other, encouraging each other, admiring and respecting each other as a counterpart in spite of a near Generation-gap. The word of the Meeting is that the subjective ‘I’ approach another subject ‘You’, and ‘You’ approach ‘I’. A meeting leads to a dialogue, which is the sharing of reason. When dialogue creates pure reality in pure soul and gently purified light, it sublimates into the art of loving (Erich Fromm). If loving is one’s responsibility for another as a person, the meeting of Toegye and Kobong and their loving conversation dwelling in soul means a different name for the time of reflection and no different to own self-image. It was October 1558 when Kobong first met Toegye at 32 years old. Since then, Toegye and Kobong have been estimated to meet each other about five times, but at the depth of intellectual conversation, they can be understood as a moment of universal and humane meeting, that is, moment when they become more aware of humanity through the human qualities rather than many book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earning of Way (daoxue 道學) is the dialogue through humane meeting. So, scholars’ avoiding dialogue can be likened to living against the world in the end. Toegye said it is ‘the worry of bluntness’ that is lonely without friends to talk about. Things that don t fit together, are difficult to control, and are difficult to overcome can often be solved through Loving and Harmony(he 和) rather than by force. Likewise, Toegye and Kobong also agree that if the fundamental intentions of dialogue are to clarify the Way(dao 道), the opinions will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ey also believed that if the big fundamental is same, they will have the same opinion, not bothering to think about trivial things. This may be ‘Principle (daoli 道理)’to approaching the old future of Toegye and Kobong and ‘that by which something is so(suoyiran 所以然)’ to pass down their thoughts. Despite this separation of time and space, it is the unavoidable sound of the souls of the pre-Confucians and the whip of consciousness acquired empirically that the now scholars inherit their thinking and practicing. The superior philosophical and academic heritage of two Great Confucians can be understood only in the light of self-consciousness they have acquired.

1. 先儒를 그리며

2. 眞儒와通儒의 만남과對話

1) 眞儒와通儒의 만남

2) 知와 사랑의 對話

3) 宮聲과徵聲의 조화

3. 梅香과遺香의別離와記憶

1) 退溪와梅花의香氣

2) 高峯과百世의遺香

3) 別離의記憶을넘어

4. 마음에담아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