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화살통의 등장과 전개과정 — 걸이금구 분석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Arrow Cas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 531

이 글은 삼국시대 한국의 화살통을 집성하여 형식별 변천과 계통, 기원지, 착용방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달리 화살통과 허리띠를 연결하는 부품(화살통 걸이금구)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대상 유적은 44개소, 유구 101개소, 유물 202건이며, 형식은 화살통 걸이금구의 형태속성을 기준으로 8개로 세분했다. 기원과 새로운 형식의 등장은 공반유물의 교차편년과 중국의 화살통 자료를 비교하여 추정했다. 화살통 착용은 고구려 고분벽화 등 고대의 회화자료를 근거로 제시했다. 분석결과 삼국시대 화살통은 4세기 후엽~6세기 전엽까지 크게 유행했다. 변천과정은 4기로 구분했는데, 분기별로 마한·백제권과 가야·신라권에서 다른 형식이 등장·쇠퇴하는 양상이 간취된다. 신라권은고구려, 백제권은 중국 삼연지역과 고구려의 영향을 함께 받은 것으로 판단했다. 가야권의 화살통은 고령과 합천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성행하는데, 백제와 신라 화살통의 특징이 모두 나타나며 III기에는 새로운 형식의 화살통(B2`식)이 만들어진다. 이 형식은 신라권에는 없지만, 공주 송산리와 나주 복암리정촌, 함평 신덕고분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동 시기 두 지역의 교섭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대 한국의 화살통은 중국 삼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 동북아시아의 정세변화에 따라 각국의 다각적인 접촉과정에서 유입되었고,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며 전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ile data on the Korean arrow cas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o examine their transition, lineage, and origin, as well as to consider how they were wor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rts that connect the metal component of the arrow case and belt. The target sites include 44 sites, 101 features and 202 artifacts, and eight types of arrow ca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ow case metal component. The origin and appearance of new forms was considered by comparing the artifacts with those from China. The way in which the arrow case may have been worn was suggested based on ancient paintings, such as Goguryeo ancient tomb murals.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at arrow cases had been very popular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e process of change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with each quarterly period witnessing a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egradation. The arrow cases of Silla and Baekje were influenced by Goguryeo and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Arrow cases in the Gaya region are highly prevalent in the Goryeong and Hapcheon regions, featuring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 and Silla arrow cases. In Period III, a new type of arrow case (Style B2) featuring a new form of connecting metal component appeared. Although this type has not been observed in the Silla sphere, it has been identified in Songsan-ri Gongju, Bokam-ri Naju Jeongchon, and Sindeok Hampyung. It was therefore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arrow cases of ancient Korea had been introduced into each kingdom in various different way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polities of Northeast Asia, such as Sanyan (三燕),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와 변천과정

Ⅲ. 화살통의 기원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