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1910년대를 전후한 시기 러시아 연해주지역 독립운동사를 한국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어떻게 기술하여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행된 한국사 교과서를 그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검토 결과 먼저,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 20여 년간에 걸쳐 발행되었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크게 그 흐름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와 비교해 볼 때, 박은식의 인식이 일정하게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인식이 맹목적으로 그대로 답습되고 있지는 않다. 둘째, 국정 교과서와 검인정 체제의 교과서 사이에는 변화도 있다. 특히 임시정부 서술 부분에서 그 현상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1990년대 중반에 발행된 교과서에서는 ‘적색군의 감언이설에 속아’와 같이 ‘반공주의’ 시각에서 집필된 표현도 주목된다. 넷째, 각 교과서마다 주요 인물 또는 단체를 따로 취급한 것을 볼 수 있다. ①에서는 주석의 형태로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군 부대를 열거했고, ③에서는 13도 의군·대한광복군정부·대한국민의회에 대한 설명을 별도로 덧붙였다. ④에서는 홍범도, ⑤에서는 이동휘를 따로 소개하였는데,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인물이지만, 그 이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 소개 차원으로 보인다. 교과서의 서술은 지면 제약으로 인해 분량 면에서 여러 가지 아쉬움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 면에서 두 권의 한국사 발행 시기 때와 한 권으로의 통합 시기를 비교해 볼 때도 그 변화가 현저하다. 두 권 분량의 내용을 한 권으로 축약하면서 취사선택하다 보니 생긴 불가피한 결과라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conten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struggle in Russian Primorsky s area around the 1910s, which were described in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five Korean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1990s to the 2010s, were considered. First, a consistent trend seems to be largely maintained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over 20 years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10s. And compared to Park Eun-sik 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lood History, Park s perception is believed to have been consistently transferred. Second, there is a change between the state-authored textbooks and the authorized textbooks. The phenomenon can be clearly identified, especially in the section of the interim government s description. Third, in textbooks published in the 1990s, The expression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anti-communism is drawing attention. Fourth, you can find that each textbook treats a major person or group separately. Textbook descriptions have many regrets in terms of volume due to paper limitations. In this regard, the change is significant compared to when two Korean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and when they were integrated into one volume. This is the inevitable result of the two-volume shortening the contents into one book.
Ⅰ. 서 론
Ⅱ. 러시아 한인사회 형성
Ⅲ. 독립운동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