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39.jpg
학술저널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요인 규명

Investigating Predictors College Adjustment of Freshmen

  • 189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을 바탕으로 회복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학습자특성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매개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신입생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데이터를 회귀분석 및 매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복탄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해야할 뿐만 아니라 교수나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정기적 모임 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방안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dictors of freshmen college adjustment.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purpose, 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selected as predictors. In addition, social support were selected as a mediator from literature re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56 freshmen at A university.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on college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lso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is important, including regular meetings with peers and professors in order to improve social support as well as the need to design programs that promote 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s research has provided original insights into the effect of resili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Further implications for college adjustment policy and practice are also discuss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