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aat을 이용한 마비말장애 환자의 음향학적 분석의 국내 선행연구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in Korea on the Acoustic Analysis of Patients with Dysarthria Using Praat
- 강민구(MIn-gu Kang)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1호
- 2019.01
- 475 - 482 (8 pages)
음향음성적 분석에 있어 실어증, 마비말장애, 조음음운장애, 음성장애 등 다양한 언어장애 영역에서 Praat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마비말장애와 관련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 환자의 음향음성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들 가운데 Praat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를 중심으로 2002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국내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마비말장애 환자의 음향음성적 특징을 Praa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국내의 선행연구는 총 7편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비말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Praat 프로그램을 활용한 분석은 모음 및 자음 특성, 말명료도, 구어속도, 규칙성 등을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인 음성녹음 및 음강도 측정, 기본주파수 측정, 포만트 측정이 주를 이루었고, 응용적으로 음향파라미터 공식을 만들어 음성분석을 하였다. 또한 포먼트의 기울기 및 포먼트 측정에서 자동 측정이 가능하도록 세팅하거나 조음의 속도, 발화의 속도, 조음의 시간, 발화의 시간, 쉼의 시간, 쉼의 비율로 나누어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 환자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에 있어 Praat 프로그램의 활용의 정도를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Praat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높여 마비말장애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 분석 지표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acoustical analysis, the Praat program is used in various areas of Speech & Language Disorders such as aphasia, Dysarthria, Articulatory & Phonological Disorders, and Voice Disorde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ysarthria.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2 to 2017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coust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Dysarthria using the Praat program. There are 7 preceding studies on the acoust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Dysarthria using the Praat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using the Praat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Dysarthria showed that basic voice recording and sound intensity, fundamental frequency and formant measurement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vowel and consonant characteristics, speech intelligibility, spoken speed and regular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acoustic parameter formula was made to speech analysis. Automatic measurement was made possible by formant slope and formant measurement. And analyzed the rate of speaking, articulation speed, speaking time, articulation time,pause time, and pause ratio.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use of the Praat program in the acoustic analysis of dysarthria. In the future, expect to be able to use the Praat program as an effective speech analysis index for patients with dysarthria.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