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039.jpg
학술저널

완전 수면 박탈에 의한 졸음이 운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eepiness due to complete sleep deprivation on driving performance

  • 36

수면부족은 인지기능의 저하를 발생시켜 다양한 산업분에서 업무 중 졸은 중대한 리스크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수송분야의 졸음운전은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나 효과적인 해결방안의 제시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인위적인 완전 수면박탈을 유도한 후 운전수행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각성향과 진정향이 졸음으로 인한 운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대-40대의 신체건강한 남자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당일 5시에 운전수행능력을 측정한 후에 12시간 후인 다음 날 오전 5시에 운전 수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이 후 진정향과 각성향을 차례로 제시 후 운전 수행 능력 측정 후 대응표본 T-test로 검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상수면상태의 브레이크 리액션 타임과 수면박탈상태의 브레이크 리액션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을 통해서 수면박탈상태에서 운전수행능력의 경우 개인별 차이가 있었으며, 선행연구에서도 만성적 수면박탈을 겪고 있는 집단의 경우 수면박탈에 대한 급성적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해서 운전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반응속도를 비교한 결과 수면박탈 상태에서 반응시간이 정상수명 상태에서 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Sleep deprivation has caused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and therefore, it has been managed as a serious risk in various industries. In particular, since drowsiness driving in transportation is linked to fatal traffic accidents, various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to prevent drowsiness driving, but there is a lack of effective solution proposals.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riving performance after inducing an artificial complete sleep depriv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ch propensity and sedation on driving performance ability due to drowsiness. 20-40 and healthy male subjects were take part in this experiment. and The subject was measured the driving performance at 17:00. And the next day the driving performance at 5:00 in 12hours. After that natural flavor stimulation was presen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driving performance, Pared T-test was us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break reaction time between in normal sleep state and in lack of sleep state, break reaction time in normal sleep state was faster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e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driving performance in the sleep deprived state. And in the previou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uffering from chronic sleep deprivation had a limit in understanding the acute effects on sleep deprivati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leep deprivation state than in the normal sleep state.

1. 서론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