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The Convergent Study of Mental Health on Nursing Students
- 강효정(Kang Hyo-Jeong) 지영주(Jee Youngju)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1호
- 2019.01
- 739 - 748 (10 pag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경험, 스트레스중요도,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정신건강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B소재의 간호대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 5일에서 5월 20일까지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Pearson’s correlation ceo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은 스트레스경험(r=.470, p<.001), 스트레스중요도(r=.447, p<.001), 사회적지지(r=-.178, p=.034), 자아존중감(r=.-543,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스트레스대처(r=.071, p=.403)와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분석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β = .461, p<0.001)과 스트레스중요도(β = .208, p=.02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총 36.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들 영향요인을 고려한 융복합적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 descriptive study to focus to Stress-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Challenges facing, Social Support, Self-Esteem, Stress Coping,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impact on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ne 5 to June 200 2018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ntal Health was correlated with Stress-Challenges facing(r= .470, p <.001), Stress-Interpersonal relationship(r= .447, p <.001), Social Support(r= -.178, p= .034) and Self-Esteem(r= -.543, p <.001), but not with Stress Coping(r= .071, p= .403). In a multiple regression, Self-Esteem(β = -.461, p <.001) and Stress-Interpersonal relationship(β = .208, p= .025) we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These factors attributed to 36.7% of the total variance in mental health.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ve intervention techniques need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upgrade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significan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nvergent mental health prmotion program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