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재가시설과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차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tween Long Term and Home Base Care Service Center

  • 46

이 연구는 요양시설과 재가시설 요양보호사의 인적자원 특성과 근로환경, 고용환경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또 직무만족의 차이를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전남지역 재가시설 요양보호사 71명, 요양시설 요양보호사 209명의 자료를 실증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 나이, 경력 등 인적자원이 취약한 여성들일수록 임금이 낮고 비정규직이지만 낮 동안 비교적 짧은 시간 일할 수 있는 재가시설에 고용되는 경향을 보였고, 인적자원이 상대적으로 나은 여성들은 비교적 높은 임금, 정규직이지만 야간업무와 긴 노동시간 등 상대적으로 더 높은 업무 부담이나 업무강도가 요구되는 요양시설에 고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재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요양시설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요양시설과 재가시설 간 요양보호사 인적자원의 질 차이와 근무환경, 고용환경의 차이로 인해 직무태도의 차이가 발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 of care worker s job satisfaction between long-term and home care service cent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291 care workers who are employed at 61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in Jeollanam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 workers of home care service center showed lower level of schooling, more aged group, lower income and more frequent temporary job position rather than care workers of long term service center. But they showed lower level of work load. Second, care worker s job satisfaction of home care service center appeared higher in level rather than long term service cen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care service center have different job condition from home care service center. And this affect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long term and home care service center.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