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313.jpg
학술저널

기독교인의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The Basic research on Christian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 34

본 연구는 기독교인들의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 기독교인들의 상처와 용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교회현장에서 깊고 부당한 상처와 용서를 경험한 사람들이 겪은 체험을 기초로 하여 상처를 준 대상과 상처의 영향, 그리고 용서의 정의, 용서의 조건, 용서의 과정, 용서의 결과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상처를 준 사람은 누구인가? 둘째, 용서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성인 80명이다. 본 연구도구는 EFI(Enright Forgiveness Inventory)를 참고하여 오영희가 개발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와 관련되어 응답한 것으로 기독교인의 부부, 교회성도, 친구, 부모, 기타 순이며, 가족에서는 부부가 가장 높았다. 상처 중에서는 정서적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적, 행동적 순이었다. 둘째, 용서와 관련된 응답으로는 용서의 정의에서 이해, 포용, 사랑, 베품, 감정의 정화 순이었다. 이는 향후 교회 현장에서 기독교인들을 위한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을 할 때 충분히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and utilize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s, and investigated the injuries and forgiveness of Korean Christian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ose who experienced deep and unjust injuries and forgiveness in the church scene, the object and the effect of the wound, and the definition of forgiveness, the condition of forgiveness, Process, and consequence of forgiveness. The problem of this study is, first, who was the wounded person? Second, what is forg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adults living in G city. This study used open - 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Oh Young - hee with reference to EFI (Enright Forgiveness Inven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related to wounds were Christian married couples, church members, friends, parents, and others. Among the injuries, the emotional effect was the highest,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order. Second, in response to forgiveness, in the definition of forgiveness was understanding, embraces, love, pleasure, purification of emotion. This should be fully reflected in the future development and use of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s for Christians in the church scene.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방법

3.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