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한민국 성 갈등 동향 분석 및 향후 핵심 이슈 예측
The trend Analysis and Following Core Issue of Korean Gender Conflict Using Social Big Data
- 배기쁨(Bae Gibbuem) 김찬우(Kim ChanWoo)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2호
- 2019.02
- 441 - 450 (10 pages)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 성 갈등 동향과 향후 핵심이 될 이슈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에 대한 온라인상의 문서의 키워드 출현 빈도와 왜도 분석하였고, 이를 매체별, 시기별, 주제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남성 혐오 관련 문서에서는 ‘여성 혐오’ 키워드가 출현한 비율이 지속해서 높게 나타났지만, 여성 혐오 관련 문서에서 ‘남성 혐오’ 출현 비율이 낮았다. 뉴스는 논란이 되는 사건 위주이지만, 블로그·카에는 사건의 원인 규명과 여성 혐오에 대한 토론이 주로 나타났다. 여성 혐오 문서에서는 문화와 생활 영역의 키워드들이, 남성 혐오 문서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 키워드들이 자주 출현했다. 시기별로 모든 문서의 양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 중 혐오 표현들이 지속적인 중요도를 보였다. 페미니즘 관련 이슈 역시 중요도가 높아져 향후 남녀 갈등 문제에 있어 중요성을 확장해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커뮤니티와 관련된 이슈들은 양적 측면에서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 관련 문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남녀 갈등 문제가 한정적인 커뮤니티에만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mainly about understanding the trend of Korean gender conflict and predicting flowing issue by analyzing online social network. We collected documents, which included ‘misogyny’ or ‘androphobia’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and analyzed them by comparing key word appearance frequency and skewness between medias, topics, genders, and periods. Although keword ‘misogyny’showed up in high rate in androphobia related documents, androphobia apperance rate was never above 2% so that the result showed big gap between to topics. News documents mainly contained the key words of controversial incidents, especially the criminal ones. However people tried to find the cause of misogyny or androphobia and debated actively in online communities. Misogyny documents had high frequency of cultural and daily word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androphobia was only related with online communities. Regardless of dramatic increase, feminism and hate speech maintained constant portion of appearance. While the amount of misogyny and androphobia documents has increased since 2015, hate speech has maintained its appearance rate evenly in both topics. In misogyny document it was analyzed that controversy issue has kept its appearance rate.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rate of feminism issue is rising, which means feminism is going to be more important issue when it comes to sexual conflict. However the importance of online community issue is decreasing even though the communities got bigger comparing its initiation.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sexual conflict is speading it area from limited onlime communities to overall social network service area.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3.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