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목표 심상화 방법
An Analysis on Goal Imaging Methods Used by College Applied Piano Majors
- 배수영(Bae Su-Young) 김소형(Kim So-Hyung)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9.02
- 101 - 123 (23 pages)
이 연구는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음악 목표 심상화 방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 두 곳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n=113)이며 설문지법을 통해 연구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목표 심상화 방법 중 음악 언어적 지시 접근법(m=5.89)을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고, 다음으로 청각적 모델 접근법(m=5.63)을 사용하였으며, 이미지와 은유 접근법(m=5.89)을 가장 낮은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목표 심상화 방법의 세부 10개 항목 중 ‘레슨에서의 선생님 시연을 기억하는 방법’을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고, 다음으로 ‘악보에 표기된 음악기호를 따르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레슨 중 선생님의 시연을 녹음 후 재생하는 방법’을 가장 낮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goal imaging methods used by college applied piano major students. The study group comprised of 113 college piano major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Gyeongnam area. 1st, 2nd, 3rd, and 4th graders conducted a survey by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use auditory modeling approach (m = 5.63), followed by image and metaphor approach (m = 5.89), and least likely to use decipher music notation approach (m = 5.89). From the 10 sub-items of goal imaging methods, ‘reminding of teacher’s auditory modeling and expressive demonstration’ scored the highest. Next is ‘following music notations.’ And, ‘listening to the recording of the lesson scored the lowes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연주 시 작동하는 세 가지 정신적 표상
2. 목표 심상화 방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