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음악과 예비교사의 마이크로티칭 경험 탐색: 피드백과 동료와의 협동 과정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 on Microteaching: Focused on Feedback and Peer Collaboration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1호
- : KCI우수등재
- 2019.02
- 125 - 144 (20 pages)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단계 중 피드백 과정과 동료와의 협동을 통한 수업설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경험에 대해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성찰저널, 면담, 수업동영상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 피드백 과정에서 객관적으로 자신의 수업실제를 바라볼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수업을 개선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나치게 비판적인 수업평가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자 하는 예비음악교사의 의지를 억제시키기도 하였다. 둘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동료들의 수업을 관찰하면서 음악교사 태도의 중요성을 깨닫고, 음악수업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습득할 수 있었다. 셋째, 마이크로티칭을 위한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동료 간의 협동은 예비교사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주었다. 하지만 소통하는 과정에서의 예비교사들의 미숙한 모습은 이들 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 on microteaching, especially the process of feedback and peer collaboration. Twenty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flective journal, interview, and class recording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feedback process, participants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improve teaching skills and gain confidence in teaching as well as to view their teaching process objectively. However, overcritical feedback hindered them to try new teaching ideas. Second, while observing peers classes, participants c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attitude and learn various teaching ideas from others. Third, teacher collaboration in microteaching enabled participants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on music teaching. However, immature behaviors in collaboration resulted in conflicts and dissonance among participants.
Ⅰ. 서론
Ⅱ. 마이크로티칭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및 연구자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마이크로티칭에서 피드백을 받은 경험
2.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동료수업 관찰
3. 마이크로티칭에서 동료 간 협동과정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