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 소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도와 2017년도 2차에 걸쳐 영어교과 학업성취도를 수직척도화 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학업성취도 수직척도화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소재 초등학생 310명을 연구대상 패널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첫째, 수직척도화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여 수직척도를 구성하고자 할 때 결정해야 할 제반 사항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둘째,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문항 난이도와 피험자 능력모수를 추정을 실시하였으며,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난이도와 개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과를 한 개의 동일 척도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매년 실시되는 학업성취도 검사결과 들의 비교를 위한 방법론 제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o measure schools’ contrib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hievement, the effective analysis of individual student academic growth is preceded, which is enabled through the vertical scaling for achievement assess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IRT vertical scaling could be developed to establish such longitudinal scales of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16 and 2017. At the initial step, a conception of vertical scaling was give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caling method using anchor items and ways to compare vertical scaling results were shown. Secondly,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test scores from grade 4 students in 2016 and grade 5 students in 2017 were linked through common-item design and difference in results from scores and subjects was analyzed and compar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