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Seeking the Solutions to Realiz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 Focus on Local-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교육과학연구
- 제20권 제2호
- : KCI등재
- 2018.11
- 145 - 167 (23 pages)
이 연구는 과학, 컴퓨터, 문학, 사회 교과의 울타리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가늠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교육에 접목하며,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만한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 공유, 확산하는 방안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유형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세 유형의 융합교육을 다시 연계시키는 융합교육의 전체 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컴퓨터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포함하여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접목한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및 네트워크를 응용한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교육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역점을 두면서 지역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적용한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문학’ ‘문학-사회’ ‘지역문화-문학 및 사회’의 학제 간 융합교육의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기반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 연구의 방향과 구도를 세우는 데 이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traverses the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computer technology,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Besides, it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o examine the ways of developing, sharing and spreading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fields of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odel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tudies, as well as overall framing of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odels. The first model deals with technology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e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tegrat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Meanwhile the second model deals with Jeju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educating global citizenship, excavating examples of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applying them to local community. Finally, the third model deals with narrative culture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traverse disciplines of ‘science and literatur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 ‘local culture and literary/social studies.’
Ⅰ. 서 론
Ⅱ.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
Ⅲ.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
Ⅳ.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
Ⅴ. 결론: 융합교육의 의의와 기대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