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현황에 관한 실태분석 : 지역별, 법인운영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An Study on th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in Korea
- 김혜영(Kim Hye-Young) 이현선(Lee Heun-Seon)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 다문화가족연구 제9집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4.12
- 57 - 76 (20 pag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업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현행 기본사업과 특화사업에 대해 지역별, 운영형태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실천적 ․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률을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인구수는 대도시가 많으나 센터 이용률은 중소도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센터와 복지관 통합형(동일법인)인 경우 독자형(독립법인)에 비해 이용률이 더 높았다. 센터장의 사회복지경력이 많은 경우 대상자의 센터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사업 및 특화사업에 대한 수요는 지역별로 편차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본사업의 우선순위재조정, 획일적 프로그램 지양, 센터 평가 시 다면적 평가 도입, 유사사업명칭 일원화, 사례관리사업 활성화 등을 발전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 in Korea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t was used e-mail and telephone in order to focusing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was the distinction between big cities and small & medium-sized cities in the demand for services, according to whether Social Welfare Cent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re same corporation or no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suggests readjustment of the priority of programs, activation of case management program, sublation of standardized program, unification of different names of similar services.
1. 서론
2. 연구 설계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