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연구의 동향분석: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1-2014)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s in Korean Journals from 2001 to 2014
- 정하은(Chung Ha-eun)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 다문화가족연구 제10집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5.12
- 41 - 65 (25 pages)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4년까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관련 논문을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학술정보의 검색사이트에서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총 30개 학술지의 44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용분석법에 따라 연구내용,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그 분석틀에 따라 연구대상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 분석틀은 4개 영역, 10개 유형으로 개발되었고, 연구대상자 분석틀은 7개 유형, 연구방법 분석틀은 6개 유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지난 15년간 논문에서 연구내용은 개인특성 영역 31.7%, 학교특성 영역 23.5%, 사회문화 영역 15.8%, 기타 13.3% 순으로 연구의 빈도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분석에서는 전체 탈북청소년과 학교 재학 중인 탈북청소년이 97.6%, 학업중단 탈북청소년이 2.4%로 드러났고, 연구방법의 분석에서는 ‘질적 연구’, ‘조사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탈북청소년의 적응연구의 경향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44 articles on North Korean refugee youth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in Korean journals from 2001 to 2015. 44 articles of 30 journals met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review. The article focuses on the attempts to identify what topics and methods have been employed or neglected in Korean journals over the past 15 yea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content categories indicates journal articl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Second, the analysis of sampling frames shows the articles have utilized North Korean refugee youths samping and North Korean refugee student sampling.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methods indicates that qualitative design and descriptive design are the most utilized research method. These findings highlight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