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용 완구 소음 실태 및 표준화
Noise Emission from Toys and Standardization
- 정정호(Jeong-Ho Jeong)
- 표준인증안전학회
- 표준인증안전학회지
- 제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03
- 1 - 7 (7 pages)
유아용 완구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완구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음원 및 소리 재생이 가능한 작동 완구 및 학습 완구가 시장에 보급되고 있다. 유아용 완구에서 발생되는 방출 음압 레벨에 대한 기준이 있으나 귀에 가까이 갖다 대는 완구나 격발 뇌관을 사용한 완구에 대한 것이었다. 다양한 작동 완구 및 학습 완구의 방출 음압레벨 측정방법은 실제 완구 사용 조건과는 차이가 있으며, 해당 완구의 성능 기준에 대한 표준화는 부족한 실정이다. 작동 완구 및 학습 완구에 대한 방출 음압 레벨을 실제 사용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한 결과, 약 27.3 %가 92 dB(LAMax)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dB(LAMax)를 초과하는 비율은 81.8 %로 나타났다. 유아 및 어린이 들이 많이 사용하는 작동 완구 및 학습 완구에서 방출 되는 음압 레벨 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유아기부터 높은 소음에 노출되는 경우 소음성 난청 및 청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유아의 지능발달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향후 작동 완구 및 학습 완구 등 다양한 완구에 대한 방출 음압 레벨 측정 방법 개선 및 기준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The infant toys market is growing significantly and the types of toys are diversifying. In recent years, toys and learning toys that can reproduce various sound sources and sounds have become popular on the market. There was a criterion for the emission sound pressure level of toy, but the criterion is on a close-to-the-ear toy and a cap firing toy. The method of measuring the emission sound pressure level of various toys and learning toys differs from that of actual toys and there is a lack of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the toy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mission sound pressure level for the toys and learning toys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use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about 27.3 % exceeded 92 dB(LAMax). The ratio exceeding 80 dB(LAMax) was 81.8 %. It was found that emission sound pressure level from the toys is very high. When exposed to high noise from early childhood,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hearing loss may occur, which may cause difficulty in developing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of infa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asurement method of emission sound pressure level for various toys including toys and learning toys, and to standardize the standards.
1. 서론
2. 완구 소음 기준 및 기존 연구
3. 작동 완구 및 교육용 완구 등 소음 측정 결과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