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이 표준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구조분석: 교육수준, 전문직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ructure on Influencing Factors of Education on Standard to Enterprise Worker’s Interest on Standard: Focus On Regulation Effect On Education Level and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표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 표준교육수요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 표준교육수요가 기업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업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중요성 인식, 표준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이 표준교육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수준이 높은 근로자 일수록 표준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표준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의 교육수준 따라 표준관심, 생활표준관심, 표준중요성인식과 표준교육수요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근로자의 교육수준에 따른 일부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로자의 전문직여부에 따라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with enterprise workers in related business.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by enterprise worker’s socio-demographic feature to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Also, this study tested influencing factors of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testing interest on standard, interest on standard in life, an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using analysis of structure, enterprise worker had high awareness on importance of standard if the worker has high interest on standard and standard in life. Also, this study showed high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if the worker has high interest on standard, standard in life, and importance of standard. Second, testing by regul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on standard, standard in life, importance of standard an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using variable of worker’s education level,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path. However, there was no regulation effect according to specialized job.
1.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자료수집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