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표준인식과 표준정보요구가 생활표준 지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fluencing Standard Life Knowledge by Recognize Standard and Standard Information

  • 55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표준에 대한 인식이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표준에 대한 인식, 표준정보요구가 생활표준에 대한 지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고졸, 가계소득수준이 200만원 초과, 이공계열 전공 집단이 표준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40대이상, 가계소득이 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이공계열 전공자가 표준이 기업에서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셋째, 남성, 고졸, 40대 이상, 가계소득 400만원 초과, 이공계열 전공자들에게서 생활표준의 필요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표준에 대한 인식과 표준정보요구가 생활표준지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기술표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경우 표준이 기업에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이 기업에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을 수록 표준정보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표준정보요구가 높은 경우 생활표준지식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f adult’s recognition for standardization by socio-demographic feature. Also, this study tested the factors influencing standard life knowledge by recognize standard and standard information using analysis of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f adult’s recognized standard by socio-demographic feature. Also, this study tested the factors influencing standard life knowledge by recognize standard and standard information using analysis of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 high school graduate, the level of income more than 2,000,000won,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high interest on standard technology. Second, aged of 40s or more, the level of income more than 2,000,000won,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high realization of need of standard on business. Third, man, high school graduate, aged of 40s or more, the level of income more than 4,000,000won,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d high realization of need of standard in life. Finally, by testing the factors influencing standard knowledge to recognize standard and standard information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f one has high interest on standard technology, has high recognize on needs of standard on business. Also, by having high recognize on needs of standard on business, had high demand of standar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having high demand of standard information, had influence on level of standard knowledge positively.

1.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