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 1인 가구의 사회관계망 및 여가생활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Networks and Leisure Life on the Subject Health Condition of Middle 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김현성(Kim Hyunsung) 이기영(Lee Kiyong) 김강민(Kim Kangmin) 이교창(Lee Gyochang) 안준형(Ahn Junhyeong) 황재건(Hwang Ja
- 한국여가문화학회
- 여가학연구
- 제1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2
- 73 - 94 (22 pag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장년층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사회관계망과 여가생활이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여성가족개발원에서 연구한 「부산지역 1인가구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의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중장년층(40대, 50대) 4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과 배우자 유무 그리고 학력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가 차이가 있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연령, 배우자 유무, 사회관계망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장년층 1인 가구에 특화된 사회연결망이 마련될 필요가 있고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여가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여가활동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mpirically the impact of social networks and leisure life on the subject health condition of 1 middle aged household in Korea. In this study, raw data from Research on Living Conditions and Support Methods of 1 Families in Busan Area was used by the Busan Women s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and 422 people in the middle aged (40s and 50s) were stud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spouse status and education level.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ge, Spouse status, Social network satisfac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ocial network specialized to one middle aged household needs to be established, and that leisure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leisure life of one middle aged househol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