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韓] · 중[中] 다문화 가정의 문화적 결합구조 분석

An Analysis about the Structure of Culture Combination in Korean & Chinese Multiculture Families

  • 5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아내를 둔 다문화 가정의 가족을 대상으로 이들의 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이(異)문화 간의 교류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가치의 충돌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중 다문화가정의 문화가치가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가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가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려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 방법은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설동훈 외; 2006)에서 제시된 설문결과와 Hofstede의 5-D(권력거리, 개인주의문화와 집단주의 문화, 남성 적 문화와 여성 적 문화, 불확실성 회 피 문화와 수용문화, 장기지향문화와 단기지향문화) 체계를 사용하였다. Hofstede의 S D 가치체계 측정 결과 한·중 양국은 대부분 동일한 문화적 가치체제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가치체계에 따라 한·중 다문화가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위 성향과 연계하여 이러한 가정이 겪고 있는 문제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그 근원적 원인과 취약점,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I.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II. 이론적 배경으로서 문화의 특성과 문화적 가치의 유형분류

III. 한•중 다문화 가정의 문화가치의 결합유형 분석

IV. 맺는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