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 개발

The Study on Development of Writing Therapy Program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

  • 35

여성결혼이민자가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어려움을 지원하는 상담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면,겉으로 드러나는 심리적 어려움에 비해 상담서비스의 이용도와 만족도가 다른 서비스보다 매우 낮았다. 상담서비스는 다른 서비스와 달리 문화적 차이와 의사소통의 장애로 인하여 서비스전달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면대면 상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글쓰기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한 글쓰기 상담프로그램은 2 - 3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혼자서 글쓰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1회 ‘나의 현재 문제에 대해 있는 그대로 쏟아놓기’ ,2회 ‘나의 현재 문제에 대해 있는 아직 표현되지 못한 부분 더 쏟아놓기’ ,3회 ‘나한테 보내는 공감과 지지의 말’ ,4회 ‘나한테 아직 표현하지 못한 공감과 지지의 말,, 5회 ‘다른 관점에서 나의 힘든 문제 생각해 보기’ ,6회 지금一여기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의 목적은 상정한 문제의 주제에 대해 모국어로 솔직한 정서와 생각 등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건강을 도와주는 데 있다. 향후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the previous works on the female immigrant and the writing therapy of bibliotherapy, and develop the writing therapy program for the female immigrant to Korean society through marriage. A lot of the female immigrant have experienc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The related counseling agencies have provided the counseling services for the married immigrant so far. But the grade of satisfaction on the services were below the average because of the delivery system and the language problem of korean counselor. This paper developed the writing therapy program for the immigrant female, considering limitations of previous counseling services for the immigrant. The contents of the writing therapy program were of the following 6 sessions: writing about the stressful events(lst session), writing about the stressful events more after reading the writing journal of the 1st session(2nd session), giving the written support message to herself through the eye of the being including parents, friends, and the absolute being etc.(3rd session), giving the written support message to herself more after reading the writing journal of the 3rd session(4th session), rewriting the problem issues on the eye of the related person(5th session), and writing the action plan here and now(6th session). This writing therapy program expect that the participators reach to recognize their problem in deep mind, and start to remedy themselves throughout this therapeutic progress. I w ill test the assumption that the developed writing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of the married female immigrant to Korean society.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 are made.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