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내 다문화자녀의 실태와 독일 이주청소년 정책의 시사점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nd Implications of Migrant Adolescents Policies in Germany

  • 102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우리사회에 외국인이 급증하여 국내 체류 외국인이 100만 명을 돌파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계속되어 사회갈등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일반 청소년들 보다 많은 갈등을 겪으며,학교와 사회의 부적응과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자녀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본 후 독일의 이주청소년 정책을 통해 우리사회의 다문화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평화와 화해라는 측면에서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특히 새터민 자녀의 적응을 돕는 것이 통일 한국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길이다. 둘째,다문화자녀를 위한 학교의 수준별 언어교육은 학교교육과 직업교육,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부모교육은 다문화자녀들의 사회적 응을 촉진시킨다. 넷째,다문화청소년이 우리사회에서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다문화자녀의 자존감 강화와 일반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1. 서 론

2. 다문화자녀의 실태

3. 다문화자녀의 적응 쟁점

4. 독일의 이주청소년 정책

5. 결론 : 한국사회 이주청소년에 관한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