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부부와 자녀의 적응 특성 및 지원방안 -결혼이민자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djustment in Married Couple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Focued on Families Immigrants for Marriage -
- 이혜자(Lee Hae-Ja)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 다문화가족연구 제4집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0.06
- 173 - 197 (25 page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부부와 자녀가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 부부 및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서비스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족 부부와 자녀의 주된 문제와 욕구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천안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부부 6쌍(12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7월 1일부터 6개월 간, 참여관찰을 통한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전문가 집단 5명을 대상으로 포크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다문화가족 부부 및 자녀에 대한 요구와 정책대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족 부부와 자녀는 우리사회 적응에 따른 여러 가지 어려움을 나타내 보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많은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긴 하나, 보다 더 보완되고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의 적응을 위한 몇 가지 핵심적인 제안을 한다면,첫째, 이들 다문화가족의 문제점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강점이나 건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모를 위한 상담이나 자조집단모임이 확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을 위한 현재 교육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노력과 다문화주의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식 개선이 뒤따라이= 할 것이다.
The purposes o f this study are to promote interest for multicultural family which form s a new type o f family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multicultural family problem s and find the suitable strategy to co p e with the problem s. The most important two problem 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re raised from the couple, husband-wife, and from their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extensive interviews w as conducted and analyzed in 6 coup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5 focus groups residing in Cheonan city and Chung-nam. The major strategies to overcome the problem 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 f the multicultural family program to enhance the family strength and healthiness. Second, strengthening the program for parents o f multicultural family and family counseling (therapy) program , self-help meetings. The conclusion o f the research asserts that the mean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 f educating immigrant spouses and their children for cultural adaptation must be sought out, and concurrently, society-wide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 f multiculturalism must be implemented as well.
1. 서 론
2. 다문화가족의 특성 및 지원 정책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