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유분석을 통한 영유아기 부모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Parents’ Creativity Based on Metaphor Analysis
- 한안나(Anna Han) 이새별(Saebyeol Lee) 황희숙(Heesook Hwang)
- 인지발달중재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3
- 85 - 100 (16 pages)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204명이 제시한 창의성에 대한 은유표현이며, 연구방법은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유아기 부모들이 인식하는 창의성의 의미를 은유를 통해 알아본 결과, 개인적 특성, 문제해결, 산출물, 환경과의 관계라는 4가지 대분류로 범주화되었다. 4개의 대분류는 13개의 하위내용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인적 특성은 독창성, 자율성, 융통성, 유창성, 상상력, 호기심, 즐거움, 모험심을 포함하는 8개의 내용유형, 문제해결이라는 대분류는 문제해결 과정으로 대표되는 1개의 내용유형, 산출물은 창의적 산물로 대표되는 1개의 내용유형, 환경과의 관계는 잠재력 발현에 필요한 환경, 사회적 필요, 교육활동이라는 3개의 내용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창의성에 대한 인식은 영유아기 부모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parents with young children define creativity based on metaphor analysi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their reasons among 204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four categories and 14 core concepts of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were identified. The categories and their relevant percentages are as follows: Person-52.0% (originality, autonomy, flexibility, fluency, imagination, curiosity, pleasure, adventure); Process-10.8% (problem solving); Product-3.9%(creative product); and Press-33.3%(environment for creativity, needs for person and society, creativity through play). The results indicate a variety of creativity concepts according to parents’ awareness. Howeve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have many concepts of creativity related to psychological factors and press but do not give much consideration to the thinking process and produ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ults will be discussed with relation to implications for a parents education program regard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