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확립을 위한 사회적 노력
A social effort for establiehing self estalm of multi-cultural youths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 다문화가족연구 제3집
- : KCI등재후보
- 2009.02
- 117 - 130 (14 pages)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을 높여서 바람직한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과 방안을 연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의 부모는 모국에서는 엘리트들이 우리나라에 왔으나 대부분 막노동이나 3D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학습결손과 학교생활부적응, 언어소통 장애에서 오는 부적응, 행동과 가치관의 차이에서 오는 부적응, 외모 및 혼혈인에 대한 사회적인 정체성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중 속에서 외로운 미아처럼 외톨박이로 생활하거나 같은 다문화청소년끼리 모여 서러움과 한(恨)을 삭히기도 한다. 많은 다문화 청소년들이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나 막상 돌아간다는 소망은 고국에서도 이방인의 취급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될 때에 절망에 빠질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에서 정체성을 확립해주어 떳떳하고 당당하게 생활하여 성공할 수 있는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일이 시급한 과제다. 첫째, 세계의 N.G.O의 연합적 협력과 체계적 활동을 전개해간다. 둘째, 국가차원의 정책적 변화와 배려가 절실하다. 셋째, 사회차원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의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국민개개인의 의식전환에 동참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문화기금을 조성 운용하여야 한다. 일곱째, 다문화문화센터건립을 하여야 한다. 여덟번째, 지역사회단위에서 다문화시설과 운영 프로그램보급개발 사업을 추진해간다. 다문화청소년들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정체성의 혼란과 불안감에서 연유되고 있다.
1. 문제의 제기
2.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이론
3.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방안
4. 대안제시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