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6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문화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인 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ecurity Performance

  • 60

본 연구는 군의 보안문제가 국방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이버보안 등 기술적인 분야에 치중되어 왔던 점을 감안하여 조직문화 관점에서 군의 보안문제에 대해 접근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군의 보안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출 후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는 군인들의 가치관(국가관, 안보관, 군인정신)을 확립하는데 기여함은 물론 보안준수의지와 군 조직의 보안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군의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장병들의 보안의식과 조직 보안성과 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려줌과 동시에 올바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군인의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와 보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치관은 조직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올바른 가치관이 형성되었을 때 조직의 보안태세 확립에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셋째, 한국군의 맥락에 부합된 변수들을 추출하여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표본의 대표성 확보, 보안수준 변화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시계열 연구, 연구자 및 데이터의 삼각화 등은 연구의 한계이다.

This study approached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sycholog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has been focused on the technical field such as cyber securi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background, we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ter extra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security problem of the military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military culture ha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improving the willingness to adhere to security and the security level of military organization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values. This indicates that the overal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urrent military is influencing the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 soldiers and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security,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need for effort to create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values of soldi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the individual to obey the security and the security performance. Values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cate that efforts can be made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ecurity posture when the right values are formed. Third, we have improved the completeness of the study by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y extracting variables that correspond to the context of the ROK militar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설문의 구성 및 분석모형

Ⅳ.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