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금호강하류역 송국리문화와 방형계주거지 — 대구ㆍ경산을 중심으로

The Songgukri Culture and Square-shaped Dwellings of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ho River — with focus on the Daegu and Gyeongsan areas

  • 440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 송국리단계로의 전환에 있어 그 논의의 출발점은 송국리형주거지를 위시한송국리문화의 근원에 관한 견해차이에서 비롯된다. 즉 송국리문화의 외래유입설과 자체발생설의 입장이 팽팽하지만 기본적으로 둘 모두 전기에서 중기로의 전환에 있어 주거형의 축소경향은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외래유입설의 입장 일부는 전기주거지에서 비롯된 변화형으로서의 방형계주거지가 중기에도 지속되며 외래요소인 송국리문화와는 서로 교류를 통해 유지되었다고 본다. 이에 반해 송국리문화 자생설의 입장에서는 전기 이래의 주거규모 축소는 일관된 변화속에서 이루어지며 종국에는 송국리형주거지로 전환되어 갔음을 강조한다. 호서지역이나 경기도지역에서 논의가 있었지만 송국리문화의또 다른 중심지인 영남에서는 아직까지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영남권 특유의 양식이 드러나는 대구와 경산지역이 속한 금호강하류역에 대한 검토 결과, 대구지역은전기 이래의 방형계주거지와 그 후속으로 송국리문화가 받아들여지는 것에 비해 경산지역은 송국리문화의 영향력도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방형계주거지의 주도하에 공존이 이루어지는 곳이었다. 두 지역 간 이러한 차이는 검단리문화권에 좀 더 근접하고 있던 경산지역의 지리적 위치가 작용한 결과라 할수 있다. 대구ㆍ경산지역은 검단리문화권과의 접경지대라는 점에서 두 문화 간 접변양상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지점이며, 경산 옥곡동유적은 특히 검단리문화권의 영향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가늠자로서 당시의 문화 확산과 접변양상을 잘 반영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The discourse on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Middle Bronze Age (represented by the Songguk-ri stage) is dominated by differences in opinion concerning the origins of the Songguk-ri culture, including the origins of Songguk-ri type dwellings. Foreign introduction versus indigenous development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in relation to the Songguk-ri culture, bu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 reduction in dwelling size accompanied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 Those who champion the foreign origins theory maintain that square-shaped dwellings derived from Early Bronze Age longhouses and persisted into the Middle Bronze Age, representing an exchange with the foreign elements of the Songguk-ri culture. In contrast to this, those who accept an indigenous origins theory emphasize the reduction in dwelling size that continued from the Early Bronze Age and argue that it was under such conditions that Songguk-ri type dwellings emerged. In relation to this,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in the Hoseo region and the area of Gyeonggido Province but a detailed review has yet to be satisfactorily performed on the Youngnam region, which was another center of the Songguk-ri cultu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vidence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ho River (corresponding to the Daegu and Gyeongsan areas) where the unique style of the Youngnam sphere has been exposed. It was identified that in this region, as with other regions, square-shaped dwellings continued to exist during the period of the Songguk-ri culture. However, regional variation could also be observed. Furthermore, as the Daegun and Gyeongsan areas border the Geomdan-ri culture sphere, important insights could also be obtained on the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culture spheres. The site of Okgok-dong, in Gyeongsan,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s it has yielded the remains of a diverse range of different dwelling types, making it possible to trace diachronic change in the dwellings of the reg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oundary with the Geomdan-ri culture sphere was further extended westwards.

Ⅰ. 머리말

Ⅱ. 송국리문화에서의 방형계주거지 문제

Ⅲ. 금호강하류역 주거양상과 경산 옥곡동유적

Ⅳ. 금호강하류역 방형계주거지의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