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17.jpg
학술저널

영어 관사 사용의 오류 분석 및 효과적인 지도 방안

Error Analysis of Articles Uses in English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 182

모국어 화자들에게 영어 관사란 어려움 없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반면에, 한국인에게는 생소한 문법 체계이다. 왜냐하면 한국어에서 관사 사용 여부에 따른 의미상의 차이를 중요시 하지 않고, 명사의 가산성에 따른 구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관성 있는 관사 사용을 위해 대표적인 학자 Jespersen과 Christophersen의 명사 분류에 대해 살펴 본 후 그에 따른 관사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Jespersen은 친숙성 정도의 이론으로 1단계는‘친숙하지 않은 단계’로서 부정관사가 쓰이고, 2단계는‘거의 친숙한 단계’로 명사를 명확하게 알 수 있을 때 명사 앞에 정관사를 쓴다고 했다. 3단계에서는‘완전히 친숙한 단계’로 무 관사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Christophersen의 이론으로 정관사는 친숙성의 관사이고, 부정관사는 단일성의 관사라 하였으며 화자가 말한 단어에 대한 지식이 활동으로 개시하게 되면 그 단어의 개념이 심중에 형성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관사 용법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관사의 용례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관사 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The English article is an unfamiliar grammatical system for Koreans, while for native speakers, they are used unconsciously.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meaning in Korean language does not matter whether an article is used or not, and does not requir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untableness of a nou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nouns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Jespersen and Christophersen for consistent use of the articles and then discussed the theories of the articles accordingly. First of all, Jespersen is a theory of familiarity, and the first step is used the indefinite article as a unfamiliar phase , and the second step is almost familiar and it is said that when the noun is clearly known, the definite article is written in front of the noun. The third step was to say that completely familiar should be used as the zero article. Christophersen s theory states that the definite article is an article of familiarity, and that the indefinite article is an article of unity, and when the speaker s knowledge of words begins as an activity, the concept of words is formed in his mind. This thesis was presented that an effective article teaching method was described on the basis of usages of articles in order to reduce the errors of article usage.

1. 서론

2. 관사 이론

3. 관사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