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2010-201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Systematic Review(2010-2018)
- 임소희(So-Hee Lim) 송효숙(Hyo-Suk Song)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3호
- 2019.03
- 551 - 560 (10 pag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2010년 이후부터 최근까지 국내 학회지에서 발표된논문을 분석하였으며,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서 검색하였고, 최종 29편이분석되었다. 연구결과: 32편 논문 중 3편을 제외한 29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간호학 분야에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 발표한 논문이 15편(51.7%)이었으며, FACT-B 도구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한 논문이 15편(53.5%)으로 가장 많았다.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는 중재프로그램, 우울, 피로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시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과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하며, 다차원적인 삶의 질 영향요인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ere included 29 published papers regarding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patients from 2010 data to recent. The analysis paper was searched through KISS, KERIS, KMBASE, NDSL, KCI. Results: Of the 29 papers, 15 papers with regard to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patients were performed by nurses. 15 studies (53.5%) were used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the FACT-B. Intervention programs, Depression, Fatigue were main influencing factors to quality of life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patient centered intervention considered patients quality of life influencing facto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Additionally, multicenter cohort studies should be requir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4.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