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가 소확행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 남윤주(Yun Ju Nam) 남승규(Seung Kyu Nam)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3호
- 2019.03
- 841 - 850 (10 pages)
이 연구는 일반신뢰와 자기신뢰로 구분하여 개념화한 신뢰가 작지만 확실한 행복, ‘소확행’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전지역 28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확행의 대표행동들에 대해 알아보고 반응을 살펴보면서, 신뢰가 소확행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를 확인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에, 상관분석을 통하여 신뢰와 소확행 및 행복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신뢰유형과 수준에 따른 소확행과 행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일반신뢰와 소확행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신뢰와 소확행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수준, 특히 자기신뢰에 따라서 소확행 뿐만 아니라 행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일반신뢰보다 자기신뢰에 따라 소확행과 행복의 정도가 더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행복을 높이기 위하여 신뢰수준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과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st that divided into general trust and self trust on ‘sohwakhang’ which is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Looking at responses to representative behaviors of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of 284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rea, we examined the effects of trust on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In order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checked and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n,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Finally, we examined differences of ‘sohwakhang’ and happiness according to trust type and level by ANOVA. As results, first, general trust and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self trust and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according to trust level, which is self trust, particular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egree of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are higher in self-trust than in general trus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mall but certain happiness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practical measures and solutions to increase the trust level of students will be need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1. 서론
2. 연구가설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