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32.jpg
KCI등재 학술저널

글로벌화에 따른 로컬 축산업의 변동 - 한우의 사회적 생산과 전략적 산업화를 중심으로

Globa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Local Livestock Raising: Focused on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Korean Native Cattle and their Strategic Industrialization

  • 2

글로벌화에 의해 상품 사슬의 지리적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로컬한 것’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점차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흔히 한우는 순수하고 전통적인 우리 것이라는 의미에서 ‘로컬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한우는 매우 산업적인 생산 시스템에서 ‘구성’되고 있고, 이에 따라 본연의 생물학적 속성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새롭게 재편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화에 따른 표준화 현상으로 안전이나 위생과 관련된 글로벌 스탠더드가 확대됨에 따라 한우 생산 과정도 이러한 규제를 받으며 빠르게 제도화되고 있다. 또한, 쇠고기 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한우업계의 대응 전략은 한우를 단지 ‘소’라는 자연적 생물을 넘어 각종 규준과 사회적 의미가 내포된 전략적 산업화의 상품인 담론적 구성물로 만들고 있다. 본 논문은 푸코의 담론 분석을 통해 한우 담론을 추적하고 그에 내포된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한우 담론을 구성하는 지식 체계, 이의 산업화와 제도화 과정, 담론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우를 매개로 한 로컬 축산업의 지리에 대한 이해는 현행의 국제이해교육 및 글로벌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In many thoughts on contemporary globalization process, the ‘local’ has been often considered something pre-existing, conventional, natural, essential, and familiar, while the ‘global’ is situated as the anti-thesis of the local. In this context, Korean native cattle in South Korea have been regarded as natural, local, and traditional for many consumers. As contemporary Korean native cattle are more raised within the industrial production system, its biological attributes are socioeconomically recoded. In addition, as global standards on security and safety have been expanding, the production system of Korean native cattle are rapidly institutionalized. In this context, new local strategies, which are highly commercialized, are being developed for securing domestic beef market. Thus, Korean native cattle are becoming a ‘discursive construct’ in which various social and economic meanings are embodied. By employing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this paper aims at tracking the ways in which Korean native cattle have embodied institutionalized discourses involved in these global and local transitions. Conclusively,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reveals how knowledge system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involve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attle.

Ⅰ. 서론

Ⅱ. 한우 담론의 등장 배경

Ⅲ. 한우 담론의 특성과 국내 한우 생산의 제도화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