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46.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적응과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방향

The Korean Life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nd Directions for Community Multicultural Education

  • 19

이 글에서는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가족생활과 사회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지역사회를 위한 다문화정책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전국 수준에서 생산된 통계자료와 관련 문헌자료를 활용하였는데, 특히 2009년과 2012년의 여성결혼이민자가족실태 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문화적인 차이 중에서도 남녀불평등이나 가부장적 문화에 가장 큰 혼란을 겪고 있고, 시부모가 함께 거주하면서 시집살이로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족 내에서 자신의 위치에 회의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고부관계는 한국의 일반 가족과 비슷하지만 고부 갈등 요인이 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 관심이나 문화차이로 인한 상호이해 부족, 그리고 각자가 지닌 상대방에 대한 기대감 차이 등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사회생활하면서 겪는 문제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차별을 경험한 여성결혼이민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고 취업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는 오히려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사회 관련 시설 중에서 주민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고 이어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시설을 활용한 교육 및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과 함께, 여타 시설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를 높이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일자리 교육과 일자리 연계 교육 및 지원서비스, 자녀 생활 및 학습 지원, 가정 방문을 통한 각종 교육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drawing implications and the role of commun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Korean life adjustment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article, I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feature of the typical family relation and the Korean life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typical family figu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has pointed out a marital relationship-centered family, and decision making between the married couple has high ratio decided in self-controlled way, and one nuclear family in the change in the Korean family who appears recently by a branch family custom s existing is typical family figuration from the past. It s rather put in the patriarchal family-like family culture and the unfair marital relationship more than the general family like the Kore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family. In general, mos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usband. Adapt to Korean society, language communication, child education, community adjustment problems with the same level of help was most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Korea and community well adapted to the social framework that can nurture childr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communities and Korean society.

Ⅰ. 서론

Ⅱ.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

Ⅲ. 다문화가족의 사회생활

Ⅳ. 결론: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방향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