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52.jpg
KCI등재 학술저널

예비교사들의 자기대상, 공감지각, 자기애와 심리사회적 성숙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object, empathy perception, narcissism and psychosocial Maturity of Pre-service Teachers

  • 128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자기대상, 공감지각, 자기애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대상이 공감지각을 부분 매개하여 자기애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과 자기대상이 공감지각과 자기애를 완전 매개하여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안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청 소재지에 소재한 2개의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 133명(국립 101명, 사립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연구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둘째, 자기대상이 공감지각과 자기애에 대한 경로계수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지각이 자기애에 대한 경로계수와 자기애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대한 경로계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대상이 자기애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공감지각이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미치는 간접효과 각각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대상이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애가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pre-service teacher psychosocial maturity model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a) Is the pre-service teacher’s psychosocial maturity model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valid and do selfobject, empathy perception, narcissism of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impact on their psychosocial maturity?; and (b)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 partially mediated model and fully mediated model? One hundred thirty thre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7.0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was fitted to the data. The result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selfobject significantly impacts on empathy perception and narcissism directly, and it significantly impacts on psychosocial maturity through other mediating variables(empathy perception and narcissi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psychosocial matu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psychosocial maturity of pre-service teach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 법

Ⅳ. 결 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