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개념학습에서 가장 효과적인 feedback 유형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전체 63명, 2개 학급의 남학생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교사의 질문과 그에 따른 학생의 응답, 교사가 제시하는 feedback으로 나누었다. 교사의 질문 유형은 단순 질문, 기억 질문, 사고 질문으로 3가지 유형과 그에 따른 feedback 유형은 즉각적 feedback과 지연적 feedback 2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통제반의 학급에는 즉각적 feedback을 실험반의 학급에는 지연적 feedback을 적용하였다. 검사 도구는 성취도 검사를 활용하여 채점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 질문과 기억 질문, 사고 질문 모두에 대해서 지연적 feedback을 적용했을 때가 즉각적 feedback을 적용했을 때 보다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전체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for 9th graders according to teacher’s format of feedback in science classroom. Total 2 classes of 63 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and interviewed. The formats of verbal interaction were divided three according to teacher’s question and students’ response, teacher’s feedback. The format of teacher’s question were divided into three(; confirmation question and menorization question, thought-provoking question) and the format of teacher’s feedback were divided into two(: immediate feedback, delayed feedback). In the classroom, one class(control) was implemented immediate feedback, but the other class(experimental) was implemented delayed feedback. In the resul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otal achievem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The experimental class(the class which had adapted in delayed feedback) was higher than the control class(the class which had adapted in immediated feedback) in achievement. That mean delayed feedback was effective than immediate feedback in the simple question and thought-provoking question, the memorization question.
Ⅰ. 서 론
Ⅱ. 본 론
1. 연구 방법
2. 연구 결과
Ⅲ.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