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ednts through meta-analysis of domestic journals from 2010 to 2017.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 effect sizes calculated from the 41 research materials selected i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and The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The Institute of Korea Arts Therapy. Result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art therapy for this study was 1.69, which indicates that the programs proved to be useful for children. Second, the session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consisting of 7~10 group members was conducted more than 20 times in total, with the time per session of 60~90 minutes.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elementary school art therapy can be an effective way of solving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ldren and will be useful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7)
-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역량과 분노 표현과의 관계: 자녀에 대한 염려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아버지의 놀이성이 아버지-유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놀이 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 관계에서 교사 - 영아관계의 조절효과: 수직적 전이집단과 수평적 전이집단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