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Group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 손승희(Sohn Seung Hee)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8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4
- 115 - 137 (23 pages)
본 연구는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되는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집단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상담자들 10명을 대상으로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지각된 경험’에 대하여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 영역과 총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 영역을 중심개념으로 축약하는 과정에서 크게 ‘집단상담 운영기술’, ‘집단상담자로서 성장 발달’,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중심개념으로 묶을 수 있었다. 첫째, ‘집단상담 운영 기술’은 다양한 집단촉진기술 습득, 집단역동과 집단원 이해, 집단상담 계획 및 차기 과제 설정이라는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상담자로서 성장발달’에서는 집단상담자로서 자각,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통합이라는 3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에서는 피드백과 비교를 통한 인식, 지지와 경험 공유라는 2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도움이 되는 집단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group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A total of 10 group counselors who have group supervision experience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helpful experiences, 3 core ideas, 8 domains and 24 categories were drawn. In terms of the first core idea, “Managing skills in group counseling” was retrieved and ‘learning diverse facilitating skills’, ‘understanding the group dynamics and group members’, ‘planning and setting next tasks’ were retrieved as domains. The second core set of domains identified were “Development as a group counselor” and ‘awareness as a group counselor’, ‘professionality’ and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in group counseling’. The third core ideas were “Group supervision Interaction” and ‘recognition through comparison and feedback’, ‘support and sharing experiences’ retrieved as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dea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unselor’s education in group supervision process includ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