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05.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명절 주제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드러난 유아의 전통명절에 대한 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반응

Children s experiences and responses to picture books on Korean traditional holidays

DOI : 10.15409/riece.2019.21.1.10
  • 54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전통명절을 주제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하여 명절에 관한 유아의 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대 명절에 해당되는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5주간 실시하면서 유아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통 명절에 대한 유아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면, 첫째, 유아는 가정생활 속에서 명절에 대한 경험을 하였다. 둘째, 유아는 지역 명절 축제의 장에서 명절과 세시풍속에 대해 경험하였다. 셋째, 유아는 교육과정 속에서 명절에 대한 경험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적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과 연행적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명절에 대한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그 기반이 되는 연구임을 시사한다. 이에 전통교육은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유아가 축제의 장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responses of five–year-old children when their teacher reads aloud picture books that are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holidays. For this purpose, children’s reaction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data from observations for five weeks of their reading activities of picture books. The picture books had stories of four main Korean holiday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experienced the holiday traditions at home. Second, children had experiences of seasonal customs in their local holiday festivals. Third, children experienced the holiday traditions through the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Last, children showed analytical, inter-textual, personal, and performative responses to the picture books. These findings can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planning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on traditional holidays. It is suggested that tradi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planned in a consideration of children’s family and their enjoyment with its local festival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