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56.jpg
학술저널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scale comparis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491

성취목표지향성은 교육 연구 및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강력한 이론으로, 개인이 성취를 추구하고 경험하고 해석하는 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업장면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을 측정하고 있는 대표적인 두 개의 척도 (type A, type B)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확인되는 성취목표지향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들에 대한 고유한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측정도구를 내적 구조와 더불어 외적 구조 등 다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두 척도간 차이점과 발생 원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초6, 중1,2,3과 고1,2,3을 대상으로 총 1,140명이 여기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두 종류의 척도는 4개 요인 구조를 뚜렷하게 보여주었으나 요인간 관계에 있어 다소 상이한 모습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회피요인에서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회피’에 대한 더 명확한 개념적 정의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학습된 무기력, 학업지연, 학업정서, 정서조절양식 등과의 관계에서도 두 척도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more than 2 decades. Achievement goal theory trie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goals students adopt when dealing with academic activities and the reasons behind such adoption A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to analysis widely used two scales of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Korea, type A and type B. To answer this research questions,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40 students (191 elementary school, 532 middles school students, 417 high school students). For data analysis SPSS 18.0 program was used. This study compare internal structure of type A and type B based on factor analysis. Two scales showed clear four factor structure. Type 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stery 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while type B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Avoidance factor showed obvious difference between Type A and Type B scale. Thes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new, more elaborate operational definition of ‘avoidance’.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