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nders Among School Violence
- 이인숙(Lee in suk) 박재연(Park Jae Yeon)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4호
- 2019.04
- 219 - 227 (9 pages)
학교폭력은 학교폭력 피해자와 가해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폭력의 주변인 중 방어자는 피해자에게 학교폭력 상황에서 신체적·정서적으로 큰 힘이 되어준다. 가해자를 방어하는 행동을 통해 피해자가 학교생활에 다시 적응하여 생활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방어자는 또한 피해자에게 격려와 지지, 공감을 통해 학교폭력상황에서 스스로 방어 하고 대처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주변인 중 방어자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방어자의 특성은 개인적 특성, 가정적 특성, 학교 및 사회 환경에서의 특성으로 나누어진다. 개인적, 가정적, 사화 환경적 방어자들의 특성은 학교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 방어자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상황에서 다른 가해자 피해자를 포함한 주변인들을 방어자로 변화시킴으로써 주변인들을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학교폭력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School violence is not only limited to a problem of school violence victims and perpetrators but also extended to a social problem. Its seriousness necessitates vast research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The defenders of school violence are the physical and emotional forces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 By being defended from the perpetrator, the victim is helped to adjust to school life again. Defenders also have the power to defend themselves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through encouragement, support, and empath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efenders in school violence by means of literature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efenders can be categoriz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defenders and their impact on school violence, this study aims to helping the surrounding people act as defenders by changing other peripherals to defenders in the school violence situation, and reduce school violence ultimately.
1. 서론
2. 주변인들의 역할에서 방어자 역할 이해
3. 방어자 특성 이해
4.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