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56.jpg
학술저널

복부비만관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우울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Stress and Depression of Abdominal Obesity Control Subjects

  • 175

본 연구는 일 병원을 통해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및 우울감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양산소재 K병원에서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정도, 외모 스트레스와 비만 스트레스는 중간 정도, 우울감은 낮은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는 연령대, 출산횟수 체형만족도, 평균수면시간, 수면의 질, 관리 받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외모스트레스는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정 상관관계, 비만스트레스는 우울감과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외모스트레스가 49.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외적인 관리목적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적인 필요에 의해 복부비만관리가 더욱 권장 될 거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f women receiving abdominal obesity control through a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were 146 women who underwent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at K hospital in Yangsan. The questionnaire period was from June 1, 2017 to June 31, 2017. Results: The subjects self - esteem was high, appearance stress and obesity stress were intermediate, depression was low. Depression of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who managed a period of ages, birth number of body experience, the average sleep time, the quality of sleep. Self - este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appearance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besity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Depression influenced the appearance stress and self esteem by 49.3%. Conclusion: Therefore, management of abdominal obesity should be encouraged by psychological needs as well as external management purpose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