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들의 폭음 관련 요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on the Factors Related to Binge-Drinking in College Students
- 임소희(So-Hee Lim) 송효숙(Hyo-Suk Song)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4호
- 2019.04
- 469 - 478 (10 pages)
연구목적: 본 연구 목적은 대학생들의 폭음여부를 확인하고 비폭음 대학생들과의 관련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I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총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t-test와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총 215명 중 폭음 그룹이 141명(65.5%), 비폭음 그룹이 74명(34.5%)이었으며, 두 그룹간에 성별(χ2=12.39, p=.001), 종교(χ2=11.98, p=.035), 거주형태(χ2=10.49, p=.033), 금주자기효능감(t=5.16, p=<.001), 자아존중감(t=-2.57, p=.01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다. 또한 대학생활적응과 알코올 기대(r=.26, p=<.001), 자아존중감(r=.49, p=<.001)간의 양적 상관관계와 알코올 기대와 자아존중감(r=.24, p=<001)간의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캠퍼스 내 올바른 음주문화를 확립하고, 폭음 후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인식하며, 음주 결과로 인한 심리적 변화임을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lcohol drink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ers collected 215 college students in I city from April to May 2017. Data were analyed χ2-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3.0. Results: Of the total 215 subjects, 141 people(65.5%) were in the binge-drinking group and 74 people(34.5%) were in the non binge-drinking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gender(χ2=12.39, p=.001), religion(χ2=11.98, p=.035), residental type(χ2=10.49, p=.033), Abstinence Self-efficacy(t=5.16, p=<.001), Self-Esteem(t=-2.57, p=.011).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adjustment and Alcohol expectancy(r=.26, p=<.001), Self-esteem(r=.49, p=<.001), Alcohol expectancy and Self-esteem(r=.24, p=<.001) Conclusions: It suggests establishing a proper drinking culture on campus, recognizing the phenomenon after binge drinking, and developing a program that recognizes that it is a psychological change due to drinking resul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