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56.jpg
학술저널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the mothers with child with disabled

  • 101

본 연구는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목적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경기도 지역 장애자녀 어머니 5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배포하였고, 수거된 설문 중 부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장애자녀 어머니 350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양육 스트레스를 단계화하여 차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 스트레스는 각각의 단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는 있었으나 양육유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었다.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경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양육 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과 양육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others with disabled child in Gyeongi province using objective sampling method, and 350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at each 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gradually applying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luence at each stag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and parenting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a way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 and to reduce parenting stress.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및 측정도구

3. 연구방법

4. 조사결과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