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285.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 26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에 위치한 B중학교 학생으로 총 300명에게 자기효능감 척도와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부실기재 11명을 제외한 28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8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 상위 27%(80명)집단 하위 27%(79명)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Contents Scale)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미술치료사 총 3명의 평정자가 채점을 하여 채점자간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형식척도에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내용척도에서는 교차분석(x²)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형식척도의 14개 항목 중 총 9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용척도에서는 총 5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객관적 도구로 언어적 심리검사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도구로써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 볼 수 있는 보조적 진단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in adolescents and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hree hundred students studying at B middle school in G-Prvince participated in the self-efficacy and PPAT assessment. We divided the 289 results into the top 27% (80 students) and bottom 27% (79 students) and analyzed them using the FEATS and Contents Scale of the PPAT assessment. All three evaluators, including myself, are art therapists. To improve reliability in the scoring, we evaluated one another’s scoring of the students’ results. To get the result I use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for FEATS and cross-scale analysis (x²) for the contents scale. Five criteria on the contests sc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I determined that the PPAT is useful as an objective method to support verbal psychological testing; moreover, I expect it to be useful as a supplemental diagnostic method to assess the self-efficacy levels of adolesc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